"두번째 뇌" 장 건강이 ABA치료에 미치는 영향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두번째 뇌" 장 건강이 ABA치료에 미치는 영향

Min Jung Kwon

안녕하세요~ 권민정입니다.

BCBA로서 10년간 치료 과정에 참여하면서, 아이들의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이 되고 그런 새로운 연구들이 치료 방향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느껴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아이들의 소화기 건강에 대한 연구들이 저명한 논문에 실리면서 계속해서 follow-up을 해왔는데요. 오늘은 아이들의 소화기 건강과 뇌 발달이 제가 몸담고 있는 ABA 치료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한번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두번째 뇌, 장 건강과 자폐 증상의 연관성

참고논문: Hung, L.Y., Margolis, K.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sights into mechanisms and clinical relevance.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1, 142–163 (2024).

ABA 치료와 소화기 건강이 대체 무슨 관련이 있어?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이들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원인에 대한 이해는 분명 하루하루 진행하는 ABA 수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소화기&간장학 분야 메디컬 저널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에 게재된 Hung과 Margolis의 연구를 살펴보면, 자폐스펙트럼과 위장 건강 사이에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인에 비해 위장 문제를 겪을 확률이 훨씬 높다고 합니다. 특히 변비, 설사, 복통 등이 자주 나타납니다.
  2. 더 놀라운 점은 이러한 위장 문제가 자폐의 핵심 증상 심각도와 연관이 있다는 부분입니다. 다른 말로 위장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자폐 증상이 더 심각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3. 연구진들은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과 그 대사산물이 자폐의 병리학적 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 연구 결과는 ASD 치료를 진행함에 있어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단순히 행동 그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위장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신체 건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ABA 치료과정에서 아이들의 신체 건강에 대해 안다는 것

예전에 겪었던 저의 개인 적인 경험도 공유를 해보자면...

제가 약 3년 정도 함께 센터에서 치료를 진행했던 아이가 있었는데, 부모님이 아이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공력성이 증가하고 치료 세션 중에 집중하기 어려워하며 상동 행동이 심해지는 것을 계속해서 걱정하고 계신 상태였습니다.

아이의 도전행동 패턴을 관찰했지만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했고, 부모님도 답답한 마음에 여러가지 새로운 치료를 시작하고 아이가 좋아지기를 바랬지만 짜증이나 공격적인 에피소드가 계속 지속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아이가 복통으로 응급실에 실려가는 상황이 생겼고, 그 때 아이가 지속적인 복통과 지독한 변비로 인해 힘들어 하고 있었던 점, 그리고 언어적인 문제로 그런 고통을 제대로 표현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에 아이의 소화기 건강과 아이의 전반적인 집중력, 공격성, 상동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의심하게 되면서 ABA치료 방향을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 식습관, 배변 패턴, 복통 등의 증상을 조금 더 체계적으로 기록
  • 문제 행동 기능 분석 시에 아이의 GI(위장) 건강 고려
  • 의사소통 훈련 강화 - 사진이나 그림을 통해 증상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 훈련
  • 아이가 가지고 있는 편식에 관련된 중재 계획 수립

다행히 아이의 공격적인 에피소드가 40%정도 감소하기 시작하고 세션에서의 참여도 크게 개선되면서, ABA 또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걸 더 절실하게 깨달았던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의 역할: 장-뇌 건강 관리

    부모님들의 역할 또한 굉장히 중요해 보이는데요. 아이의 전반적인 신체 건강이나 식습관에 대한 정보가 아이들이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치료들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미리 공유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음식-기분 일지 작성: 자녀의 식단과 행동 및 기분과 함께 기록해주세요. 아이들이 먹는 음식, 위장 상태, 기분이 서로 연관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2. 열린 대화: 아이가 복통, 설사, 변비를 갖고 있다면, 치료 팀에 꼭꼭 알려주시고 함께 논의해 주세요. 
    3. 장 건강에 좋은 음식 탐색: 영양사나 의사 선생님들과 얘기하면서 아이의 식단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 지 알아봐주세요.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4. 스트레스 감소 기술 도입: 스트레스는 분명 장 건강에 영향을 줍니다. 부드러운 마사지나 감정조절 훈련과 같은 평온한 활동을 도입해 주시는 방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위장 건강과 아이의 발달에 대한 연관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자녀의 GI 건강과 행동 사이에 어떤 연관성을 발견한 적이 있으신가요?

    비슷한 경험, 혹은 완전히 다른 경험이 있으셨다면 댓글로 알려 주세요 :)

    저는 또 우리 아이들의 건강한 하루하루를 위해 더 많은 좋은 연구들을 찾아 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