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와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ADHD와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Min Jung Kwon

안녕하세요, 권민정입니다.

지난번에 ASD와 ADHD의 사회성이 어떤 식으로 비슷하고 다른 지에 대해 다뤄봤는데요. 오늘은 이어서 의사소통을 하는 모습에는 어떤 공통점차이점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 각 아이들에 맞는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글: ASD와 ADHD의 사회성, 이렇게 비슷하고 다릅니다

 

ADHD와 ASD를 가진 아이들은 모두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어려움은 조금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원인 또한 상이합니다.

부모님과 치료사들이 아이들의 필요에 맞는 지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으려면, 의사소통에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와 ASD 아동의 의사소통 어려움의 원인

ADHD아동이 주의력과 충동성의 문제로 대화의 목적이나 구조의 어려움을 나타낸다면, ASD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본 규칙 자체의 이해를 어려워한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1) ADHD 아동

  • 주의력 문제와 충동성: 
    • ADHD 아이들은 대화 중 주의력이 분산되고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 쉬운데요.
    • 대화 중 외부 자극에 쉽게 주의를 빼앗기거나 상대방의 말을 끊고 자신의 말을 먼저 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도중에 갑작스럽게 끼어들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그렇다 보니 대화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상대방은 자신이 무시 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ASD 아동

    • 사회적 단서 해석의 어려움:
      • ASD 아이들은 주로 표정, 몸짓, 눈맞춤과 같은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거나 대화 중 비언어적인 단서를 읽는 데 서툴기도 하고, 종종 일방적 대화를 지속하기도 합니다.
      •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 상대방의 반응과 상관없이 계속 이야기하는 모습이 보이고 대화 중 눈맞춤이 적거나, 표정이 없을 때가 많아 상대방이 소통이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ADHD와 ASD 아동의 의사소통의 모습

      ADHD 아동과 ASD아동 모두 대화를 할 때 종종 주제를 벗어나거나 대화의 흐름을 방해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 상대방의 비언어적 신호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면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ADHD 아동은 대화의 규칙이나 신호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아닙니다. ASD아동은 그런 개념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1) 대화 목적이나 구조 유지의 어려움

      • ADHD 아동:
        • 주의력 문제와 충동성으로 인해 대화의 흐름이나 구조를 고려하기 보다는 즉각적인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에 반응하면서 대화를 하기 마련인데, ADHD 아이들은 대화를 끊어버리면서 상호적인 대화의 흐름을 방해하게 됩니다.
        • 주의가 다른 곳으로 쉽게 분산되기 때문에 대화의 주제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주제가 지속적으로 변하면 대화 상대방이 혼란을 느끼면서 대화가 일관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 ASD 아동:
        • ADHD 아동과 달리 사회적 규칙이나 대화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 대화의 순서상호작용의 규칙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누가 언제 말하고, 상대방이 말하는 동안 기다려야 한다"는 기본적인 대화 규칙을 자연스럽게 익히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대화 주제를 전환하거나, 상대방 의견에 맞춰 대화 주제를 조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낍니다.
        • 종종 상호작용보다는 정보 전달에 가까운 형태로 대화가 흐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비언어적 신호 해석의 문제

      • ADHD 아동:
        • 주의력이나 산만함 때문에 표정이나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신호를 놓칠 수 있습니다. 
        • 비언어적인 신호를 해석하기 전에 떠오른 생각을 바로 말하거나 행동으로 옮기기 때문에 대화의 흐름에 맞지 않은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
        • 그리고 혹시나 이런 신호를 알아차렸다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상대방이 화가 난 신호를 알아차렸다고 하더라도) 다른 생각이나 자극에 집중하게 되느라 이걸 인식하지 못하거나 반응 할 타이밍을 놓치게 될 수 있습니다.
      • ASD 아동:
        • 표정, 눈맞춤, 몸짓 등 비언어적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더라도 무슨 의미인지 모를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표정이 조금 찌푸려지거나, 눈을 돌리거나 등의 감정적인 신호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이런 시그널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슷해 보이면서도 다른 둘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서 오늘은 살펴보았는데요. 

      아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지 않아 답답하셨거나 아이들의 의사소통 방식을 조금 더 깊게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둘의 의사소통 기술을 키워주는 방법은 또한 다른데요. 그 부분에 대한 건 다음 글에서 이어집니다 !

      ADHD와 ASD 아동에게 의사소통 가르치는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방법 6가지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