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여자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자폐 조기 증상 이해하기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BCBA 권민정입니다.
오늘은 평소에 자주 간과 되면서도 중요한 주제, 여자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자폐의 초기 징후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에게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최근 Review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에 발표된 논문은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여자아이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많은 논문들을 리뷰하며 정리하였는데, 부모님과 치료사 모두에게 중요한 주제이며 도움이 될 것 같아 가지고 와보았습니다.
왜 이 주제가 중요할까요?
자폐는 모든 아이들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자아이들은 자폐 증상이 남자아이들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진단이 늦어지거나 잘못된 진단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과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럼 여자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자폐 조기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미묘한 사회적 어려움:
자폐를 가진 여자아이들은 더 전형적인 사회적 행동이나 상상 놀이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남자아이들은 더 분명한 사회적 결핍을 보이는 반면, 여자아이들은 표면적으로는 사회적으로 적응이 잘 된 것처럼 보이지만 깊이 있는 사회적 연결과 이해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Masking Behavior"라고 하는데, 이런 마스킹 행동이 여자아이들의 진단 시기를 지연시킵니다.
2) 덜 명확한 반복 행동:
자폐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반복 행동이 여자아이들에게는 약하거나 덜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에 강하게 집중하는 행동 또한 만약에 "동물처럼 여자아이가 관심가질 만한 것"으로 보이게 되면, 아이가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아니라고 인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자아이가 남자아이들보다 자신의 행동을 공공장소에서 더 억누르는 경우도 많아, ADHD로 오진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3) 높은 불안과 우울증:
자폐를 가진 여자아이들은 오히려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내면화된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런데 이런 내면화 문제의 원인을 잘못 파악하게 되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다루지 않는 치료 계획으로 이어질 수 있어 문제입니다.
치료사와 가족은 항상 아이들의 정신 건강 문제를 포괄적인 접근의 일부로 고려해야 합니다.
부모님을 위한 시사점:
부모님으로서, 딸의 사회적 어려움이나 집중된 관심이 단순한 성격때문이 아닐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자아이들에게 자폐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하는 전문가의 평가를 제대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빠른 진단은 아이의 특정한 요구를 지원하는 목표 지향적인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아이의 사회적 및 학업적 성장을 더 도울 수 있다는 점, 잊지마세요!
치료사를 위한 시사점:
여자아이들과 일하는 치료사들에게 이 연구는 성별에 민감한 진단 도구와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기존의 방법들은 여자아이들에게 자폐가 나타나는 미묘한 방식을 포착하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진단을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주세요!
----------------------------------------------------------------------------------------------
크게 성향이 드러나지 않는데 진단을 꼭 받을 필요가 있을까요?
자폐의 초기 징후를 이해하는 것은 가능한 한 빨리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입니다.
오늘 연구를 통해서 진단과 개입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전략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요. 만약 자녀나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가 자폐의 징후를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주세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많은 업데이트를 위해 구독도 잊지 말아주세요 :)
-------------------------------------------------------------------------------------------------
오늘의 논문: Chellew, T., Barbaro, J. & Freeman, N.C. The Early Childhood Signs of Autism in Females: a Systematic Review. Rev J Autism Dev Disord 11, 249–264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