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치는 행동(Elopement)에 대해 이해하기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도망치는 행동(Elopement)에 대해 이해하기

Min Jung Kwon

안녕하세요, BCBA 권민정입니다.

Elopement, 한국말로는 도망행동이나 탈출행동이라고 말하는 이 행동은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행동입니다.

이런 도망행동을 하는 아이들은 허락 없이 정해진 구역을 이탈하며 스스로나 주변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리는데, 교통사고나 물에 관련된 사고, 혹은 학교를 뛰어다니다가 사고가 나는 등 여러 위험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도망행동에 대한 여러 개입방법에 대한 논문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도망 행동 평가 시행하기

당연히 아이의 안전을 위해 개입이 들어가야 하겠지만, 개입을 시행하기 전에 도망 행동이 발생하는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기능 행동 평가(FBA)나 기능 분석(FA)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평가들은 통해 도망 행동이 계속 유지되는 요인을 알아내도록 도와줍니다:

  • 긍정 강화: 주의나 선호하는 물건/활동에 대한 접근
  • 부정 강화: 요구로부터의 회피
  • 자동 강화: 감각적 자극

Phillips et al (2018)의 논문을 살펴보면 아이들이 이런 도망행동을 보였을 때 당연히 학교에서는 안전 조치를 취했었지만, 그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FBA와 FA를 통해 도망 행동이 유지되는 이해를 하는 것은 학교 선생님들이 아이를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세우고 개입을 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개입 전략 세우기

아이들이 갑자기 정해진 장소에 있지 않고 벌떡 일어나서 다른 곳으로 도망가려고 하면 어른들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대부분의 어른들은 아이가 위험한 곳으로 달려가지 않도록 몸으로 막을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몸으로 아이를 계속 막는 것은, 도망행동을 줄이는 데 크게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도망행동을 줄이는 방법으로 그 효과가 증명된 다양한 개입 방법들에 대해 몇 가지를 드리자면:  

  • 차별적 강화:
    • 시간을 정해놓고 그 시간 내로 도망행동이 나오지 않으면 아이에게 강화물을 제공하는 "다른 행동에 대한 차별적 강화(DRO)" (Call et al, 2011). 예를 들어 3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아이가 차분히 의자에 앉아 있으면 아이가 좋아하는 보상을 주면서 행동을 강화합니다.
    • 아이가 도망행동 대신에 보상을 받을만한 "대체 행동에 대한 차별적 강화(DRA)" (Eluri et al, 2024) 예를 들어, 아이가 도망치기 보다는 손을 들고 "쉬고싶어요"라고 말하는 행동을 강화하면서 도망행동을 점점 줄여갑니다.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
    • 아이가 도망치는 대신 자신이 하고자하는 것을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위에서 얘기 했듯이 "잠깐 쉬고 싶어요"라고 허락을 구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비수반적 강화(NCR):
    • 행동과 무관하게 정해진 시간에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도전행동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Philips et al(2017)나 Eluri et al(2024)는 이 방법이 아이에게 강화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욕구를 채워주기 때문에, 아이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도전행동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개별화된 접근방법


개입은 반드시 아이 개개인과 그들의 도망 행동의 기능에 맞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어떤 아이들은 1가지 방법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학교 환경에서 이러한 개입을 시행할 때:

  • 도망 행동을 관찰 가능한 용어로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 FBA 또는 FA를 수행합니다.
  • 개별화된 행동 중재 계획(BIP)을 만듭니다.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 필요에 따라 계획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합니다.

개입 효과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렇게 해주세요: 

  • 선택한 개입을 일관되게 시행합니다.
  • 관련된 모든 교직원과 보호자를 참여시킵니다.
  •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략을 필요에 따라 조정합니다.

......................................................................

오늘은 "도망 행동(Elopement)"에 대한 다양한 논문을 살펴보았습니다. 당장은 절대 좋아지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것이 이런 도전행동인데, 수많은 연구들이 밝힌 것처럼 아이에 맞는 적절한 개입을 해주면 이런 행동을 분명히 좋아집니다. 

 FBA와 FA를 통해 아이의 행동기능이 무엇인지를 꼭 확인하고, 아이에 맞는 개입방법을 찾아주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마세요!!

 

References:

Phillips, C. L., Iannaccone, J. A., Rooker, G. W., & Hagopian, L. P. (2017). Noncontingent reinforcement for the treatment of severe problem behavior: An analysis of 27 consecutive ap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50(2), 357–376. https://doi.org/10.1002/jaba.376

Phillips, L. A., Briggs, A. M., Fisher, W. W., & Greer, B. D. (2018). Assessing and Treating Elopement in a School Sett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50(6), 333–342. https://doi.org/10.1177/0040059918770663

Call, N. A., Pabico, R. S., Findley, A. J., & Valentino, A. L. (2011). Differential reinforcement with and without blocking as treatment for elopem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44(4), 903–907. https://doi.org/10.1901/jaba.2011.44-903

Eluri, Z., Zoder-Martell, K.A., Andrade, I., & Trevino, N. (2024). Reduction of Elopement Using a Multicomponent Treatment in Young Children with ASD.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Psychology and Education.

Lang, R., Davis, T., O'Reilly, M., Machalicek, W., Rispoli, M., Sigafoos, J., Lancioni, G., & Regester, A. (2010). Functional analysis and treatment of elopement across two school setting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43(1), 113–118. https://doi.org/10.1901/jaba.2010.43-113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