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ABA 계획을 수정하는 방법과 시기에 대해 알아보아요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BCBA 권민정입니다.
아이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목표를 정하고 집에서 도움을 주고 계시지만, 정작 아이의 행동에 큰 변화가 없고 성장하는 건지 마는건지 모를 때가 있지 않으신가요?
응용 행동 분석(ABA)은 치료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의 변화에 맞게 목표를 수정하는 능력도 똑같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사들이 매 순간 데이터를 체크하고 그래프를 그리는 것이 집에서 하기는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요. 오늘은 어떻게 아이들을 매일 모니터링 하면서 쉽게 데이터를 체크하고, 아이에 맞게 목표를 수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매일 아이의 진행사항 모니터링하기
치료 목표를 세웠지만 그것이 꼭 아이에게 맞는 목표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요? 아이의 진행사항을 살펴보면서 무엇이 효과적인지, 어떤 부분이 조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ABA에서는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합니다.
기록 유지하기:
매일 아이의 성장에 대한 일기를 작성한다고 생각하시면 어떨까요?
아이의 기분, 참여도, 어려움이나 성공을 추적하는 일일 기록은 아이를 평가하는 전문 치료사들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아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패턴 인식하기:
일일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특정 패턴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이것은 치료목표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나 장소를 나타내곤 합니다.
예를 들어, 활동 간 전환이 지속적으로 어렵다면 시각적 단서나 구조화된 휴식을 넣어주어야 되겠죠. 성실하게 반복 적으로 같은 목표를 수행하는 것이 꼭 좋은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관찰을 기반으로 목표를 조정해야 하는 시기를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2. 조정이 필요한 시기를 인식하기
<예시: 스스로 블록완성하기 percentage 그래프>
1번에서 얘기했던 일일 기록을 확인하면서 아이에게 과제의 난이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지 패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에서는 Mid-week (일주일 중간, 그러니까 3일후 정도)에 한번 씩 패턴을 확인하고 필요하면 목표를 조정해 달라고 얘기합니다.
너무 어려운 활동:
과제가 너무 어려운 경우, 위에 있는 그래프처럼 아이의 성공률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떨어지는 패턴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목표를 더 작은 단계로 나누거나 추가적인 지시를 제공해야 겠죠? 예를 들어, 그림을 보면서 블록완성하기와 같은 목표가 너무 부담스러울 경우, 어른이나 영상에서 보여주는 모델링 보면서 블록 완성하기와 같은 더 간단한 목표부터 시작할 수 있겠습니다.
너무 쉬운 활동:
반대로, 활동이 너무 쉬우면 연습을 별로 하지 않았는데도 수행률이 100프로 이겠죠? 이 때는 과제의 복잡성을 높이거나 지시, 촉구를 줄여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주시면 됩니다.
아이가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목표를 조정해주시면 됩니다.
3. 아이가 변하고자 하는 동기가 충분히 있는지 체크!
패턴을 체크하고 목표가 아이에게 적절한지를 체크했다면, 그 다음에는 아이가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가 충분한지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어른들도 맨날 똑같은 것을 좋아하고 똑같은 것에 동기를 얻는 것이 아니듯, 아이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칭찬이나 보상 또한 조정을 해줘야 합니다.
우리 아이가 정말 원하는 것이 뭘까요?:
아이가 동기부여를 덜 받는 것 같다면, 더 매력적인 제안을 해주시면 어떨까요?아이가 변화하시길 바란다면, 보상 또한 의미 있고 효과적이어야 합니다.
타이밍 수정:
타이밍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과제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그럼 조금 더 자주 보상을 줘서 집중력을 키워주세요. 반면, 아이가 점차 집중력이 높아지고 성공률이 높아진다면 보상 주는 횟수를 점차 줄여서 스스로 그 행동을 유지하게 끔 유도할 수 있겠습니다.
4. 시간에 대한 유연성 유지
과제도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는 것 같고, 동기도 충분하다면? 활동의 시간을 조정해보세요.
활동 시간 연장 또는 단축:
데이터를 확인하니 아이가 잘 성장하고 있나요? 그럼 아이가 활동에 소요하는 시간을 조금 줄여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예를 들어, 수학 문제 1개 풀이하는 시간을 1분에서 45초로 줄여보시는 겁니다.
반대로, 아이가 이 과제를 하는 데 조금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시면, 아이가 과제를 작업하는 시간을 조금 더 늘려주세요. 오랜 시간이 걸려도 아이가 숙달할 때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시는 겁니다.
5. 지속적인 협력과 의사소통
부모님, 치료사, 선생님 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은 아이의 목표행동이 잘 수행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방적인 의사소통:
아이를 아는 선생님들과 대화해주시면서 지금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 어떤 것이 그렇지 않은지를 논의해주세요. 아이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목표를 조정해나가야 아이에게 가장 도움 되는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부모의 피드백:
부모는 구조화되지 않은 환경에서 아이의 행동을 자주 관찰하곤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오는 통찰력은 아이의 성장이나 진전을 조금 더 확실하게 파악하는 데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고, ABA 계획을 세심하게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아이에 대해 관찰하고 느끼시는 점을 진솔하게 선생님들과 공유해주세요!
집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Data Sheet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ABA 계획은 처음에 정해 놓고 무작정 될 때까지 반복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패턴을 파악해서 계획을 언제 어떻게 조정할 지를 계속해서 분석해야 합니다.
Behavior Log & Behavior Tracker 무료 다운로드 >> 매일매일 아이들 행동기록하기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목표로 하는 행동의 지속시간을 늘리고 싶거나 (집중력 시간을 늘리는 등), 목표 수행시간을 줄이고 싶다면 (과제를 조금 더 빨리 수행하고 싶거나 문제행동을 줄이고 싶은 등) 이런 데이터 시트를 사용합니다.
목표가 아이에게 맞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하게 성공 횟수를 체크하고 싶다면 이런 간단한 데이터 시트로 체크해주시는 것도 패턴 파악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됩니다.
목표행동이 꼭 1개일 필요는 없고, 여러 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목표 재평가- Midweek
위에서 말했듯이 일주일 중간정도 지점에 한번 정도 패턴을 확인해주시는 것이 좋은데요. 만약 아이가 특정 일과의 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체 일과로 진행하기 전에 해당 과제를 먼저 숙달하는 데 집중해주세요.
----------------------------------------------------------------------
아이는 계획대로 성장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유연성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획을 계속해서 조정하는 것은 실패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 가장 좋은 것을 주기 위한 적극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ABA 치료에서 성장은 직선적이지 않기 때문에, 번거롭고 손이 많이 가는 것 같더라도 데이터 기반을 계속해서 강조하는 이유는 아이가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것도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댓글 1개
안녕하세요?
전문적인 글들이 많아서 차분하게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홍보 중인데, 선생님을 더 일찍 알게 되었다면 우리 프로그램의 내용도 달라졌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부터라도 선생님과 가깝게 지내며 저희 프로그램에 대한 조언을 자주 듣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