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유아기의 용돈 교육: 경제적 책임감을 키우는 첫걸음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BCBA 박혜지 입니다!
새해는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기에 알맞는 시기입니다. 이번 2025년에는 우리 아이에게 돈의 가치를 배우고 경제적 책임감을 키워줄 수 있는 용돈 교육을 시작해보는건 어떨까요?
돈의 개념을 왜 가르쳐야 하며 언제 가르치는게 좋을까요? 이와 같은 경제 교육은 아이의 자기 통제력, 책임감, 의사결정 능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유아기에 시작하는 용돈 교육은 성인이 되어 경제적 자립심을 기르는 기반이 됩니다. 그렇다면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춰, 어떻게 용돈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좋을까요?
경제 교육의 중요성
새해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기에 완벽한 타이밍이죠. 용돈 교육을 통해 아이는 돈의 가치를 배우고, 스스로 계획하며 목표를 세우는 법을 익힙니다. 다양한 연구에서도 이러한 경제 교육이 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
- 자기 통제력과 절제: Mischel et al. (1972)의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 시절 자기 통제력을 기른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더 나은 경제적 의사결정을 한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 합리적 선택과 책임감: Furnham (1999)은 어린 시절부터 돈의 사용법을 배운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재정적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밝혔습니다.
- 목표 설정과 달성 경험: 작은 저축 목표를 통해 아이들은 성취감과 인내심을 동시에 배울 수 있습니다.
즉, 새해를 맞아 용돈 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단순히 돈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행동과 사고를 긍정적으로 발달 시키는 과정입니다.
용돈 교육의 핵심 원칙
1) 용돈은 정기적으로 주되 금액은 명확하게- 정기적인 지급: 일정한 주기로 용돈을 지급하면 아이는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Shim et al., 2010).
- 금액 설정: 아이의 나이와 가정 상황에 맞게 설정하되, 너무 많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저축, 소비, 나눔: Harvard University 연구에서는 용돈을 3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합니다.
- 저축: 원하는 것을 사기 위해 돈을 모으기
- 소비: 현재 필요한 물건이나 경험에 사용
- 나눔: 기부나 타인을 돕기 위해 사용
- 실천 방법: 투명한 저금통이나 봉투를 준비해 시각적으로 구분해줍니다.
- 각 저금통에 라벨 붙이기: “저축” “소비” “나눔”
- 작은 목표: 아이와 함께 작은 저축 목표를 설정해보세요
- 예. 한달 동안 저축해서 장난감 사기
- 강화와 피드백: 목표를 달성했을 때 칭찬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 예. 네가 저축해서 원하는 장난감을 샀구나! 정말 대단해!
- 아이가 직접 돈을 내고 물건을 구매하게 하여 돈의 가치와 선택의 결과를 경험하게 합니다.
- 실수를 학습 기회로: 아이가 충동적으로 돈을 썼다면 후회하는 경험도 중요한 학습 기회입니다.
유아기 용돈 교육의 행동적 접근법
ABA를 기반으로 용돈 교육을 더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습니다.
1) 긍정적 강화 사용하기- 아이가 용돈을 계획적으로 사용했을 때 구체적으로 칭찬해주세요
- 예. 니가 돈을 모아서 그 장난감을 산 건 정말 멋진 결정이야!
- 차트나 스티커 보드를 사용하여 용돈 사용 계획과 목표를 시각적으로 표현해보세요. 아이는 시각적 지원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하고 동기부여됩니다.
- 부모가 계획적으로 소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용돈 교육은 단순히 돈을 관리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책임감과 자기 통제력을 키워주는 과정입니다. 부모님의 작은 실천이 아이의 평생 경제 습관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새해에는 아이와 함께 작은 저금 목표를 세우고, 돈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Reference:
Furnham, A. (1999). The saving and spending habits of young peopl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0(6), 677–697.
Mischel, W., Ebbesen, E. B., & Zeiss, A.R. (1972). Cognitive and attentional mechanisms in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ality and social psychology, 21(2), 204-218.
Shim, S., Barber, B. L., Card, N. A., Xiao, J. J., & Serido, J. (2010). Financial socialization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The roles of parents, work, and educ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12), 1457-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