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서 하는 ABA에 대해 아시나요?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놀면서 하는 ABA에 대해 아시나요?

Min Jung Kwon

안녕하세요, 권민정입니다.

놀이 기반 학습을 활용한 행동 분석 치료는 최근 몇 년간 매우 효과적인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 방법은 ABA의 구조적이고 근거 기반의 기술을 놀이의 자연스럽고 몰입적인 특성과 결합하여 보다 전체적이고 아동 중심적인 치료 환경을 만든다고 합니다.

그럼 놀이 기반 ABA는 일반 ABA와는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조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 기반 증거

놀이기반 학습을 ABA 세션에 통합했을 때 나타나는 몇 가지 효과를 소개합니다.

1) 사회적 기술 향상

Bauminger et al.(2013)와 Ben-Sasson et al.(2013)의 연구에 따르면, 놀이 기반 학습은 ASD 아동의 협동 놀이 기술을 향상 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Murdymootoo et al.(2017)은 놀이기반 개입이 사회적 기술과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크게 향상 시켰다고 보고했습니다.

2) 의사소통 향상

Macpherson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놀이기 반 ABA 세션에서 언어적 칭찬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는 놀이의 통합이 ASD 아동에게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 참여도 증가

Boyd et al.(2018)은 놀이기반 ABA 개입이 비참여 행동을 줄이고 사회적 기술 참여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참여 증가는 효과적인 학습과 기술 습득에 매우 중요합니다.

4) 상징적 놀이 발달

Wolfberg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놀이를 개입에 통합했을 때 상징적 가상 놀이가 크게 증가하고 비참여 행동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놀이기반 학습을 ABA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방법

놀이기반 행동 분석 치료(ABA)는 자폐 아동을 위한 흥미롭고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구조화된 ABA 기법을 놀이 활동에 통합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놀이기반 ABA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연 환경 교수법(NET)

놀이기반 ABA는 자연 환경 교수법(NET)에 크게 의존하며, 이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놀이 중 아이의 주도성과 흥미를 따르기
  • 아이가 선호하는 장난감과 활동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기
  • 놀이의 맥락 속에서 학습 기회를 창출하기

ABA 기법의 통합

여러 ABA 기법이 놀이 활동에 통합됩니다.

  • 긍정적 강화: 놀이 중 원하는 행동을 보상하여 반복을 유도
  • 촉진: 아이가 과제를 완수하거나 적절한 놀이 행동을 하도록 돕는 신호나 지원 제공
  • 조형: 점진적으로 원하는 놀이 기술을 강화하여 완성도 높이기
  • 연쇄: 복잡한 놀이 과정을 더 작은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기 쉽게 만들기

특정 기술 목표 설정

놀이기반 ABA는 놀이를 통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사회적 기술: 차례 기다리기, 공유하기, 협동 놀이
  • 의사소통: 물건 요청하기, 놀이 활동에 대해 의견 나누기, 대화 참여
  • 인지 기술: 문제 해결, 상상 놀이, 놀이 기반 지시 따르기
  • 운동 기술: 놀이를 통한 소근육 및 대근육 활동

구조화된 놀이 환경 조성

치료사는 다음과 같은 놀이 환경을 설계합니다.

  •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 학습 기회가 풍부한 환경
  • 아이의 흥미와 발달 수준에 맞춘 환경

놀이를 강화물로 활용

아이들이 선호하는 놀이 활동을 덜 선호하는 과제를 완료하거나 원하는 행동을 보이는 보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화 촉진

놀이기반 ABA는 치료에서 배운 기술을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놀이 시나리오와 자료를 다양하게 사용
  • 또래 및 가족 구성원을 놀이 활동에 포함
  • 다양한 환경에서 기술 연습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하여 놀이기반 ABA는 자폐 아동의 다방면에 걸친 발달을 지원하는 즐겁고 동기부여가 되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놀이기반 ABA의 이점

  • 사회적 기술 향상: 놀이기반 ABA는 협동 놀이 기술과 사회적 참여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 의사소통 개선: 놀이기반 ABA 세션에서 아이의 언어사용과 칭찬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 참여도 증가: 놀이 개입은 비참여 행동을 줄이고, 사회적 기술 참여를 증가시킵니다.
  • 상징적 놀이 발달: 상징적 가상 놀이가 놀이 중심 개입을 통해 크게 발전합니다.

놀이를 ABA 치료에 통합함으로써, 치료사는 ASD 아동에게 더 재미있고 동기부여가 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술 습득과 일반화를 촉진하며, 긍정적인 치료 경험을 만듭니다.

놀이 기반 ABA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셨다면 조금 궁금증이 해결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더 알고 싶으신 내용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세요! :)

그럼 전 또 유익한 이야기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ference

Bauminger-Zviely, N., Eden, S., Zancanaro, M., Weiss, P. L., & Gal, E. (2013). Increasing social engagement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collaborative technologies in the school environment. Autis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Practice, 17(3), 317–339.

Ben-Sasson, A., Lamash, L., & Gal, E. (2013). To enforce or not to enforce? The use of collaborative interfaces to promote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Practice, 17(5), 608–622.

Boyd, B. A., Watson, L. R., Reszka, S. S., Sideris, J., Alessandri, M., Baranek, G. T., Crais, E. R., Donaldson, A., Gutierrez, A., Johnson, L., & Belardi, K. (2018). Efficacy of the ASAP intervention for preschoolers with ASD: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48(9), 3144–3162.

Macpherson, K., Charlop, M., & Miltenberger, C. (2015). Using portable video modeling technology to increase the compli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during athletic group play.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45(12), 3836 3845.

Murdymootoo, V., Elissalde, S.-N., Salle-Collemiche, X., Guivarch, J., Poinso, F., Tardieu, S., & Jouve, E. (2017). Impact of an implicit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A before-and-after study. PLoS ONE, 12(7), 1–18.

Wolfberg, P., DeWitt, M., Young, G., & Nguyen, T. (2015). Integrated play groups: Promoting symbolic play and social engagement with typical peers in children with ASD across settings.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45(3), 830–845.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